
국내 기업의 최고경영자 절반이 올해 ‘긴축경영’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지난달 18일 한국경영자총협회가 259개 기업을 대상으로 벌인 ‘2017년 최고경영자 경제전망 조사’에 따르면 49.5%가 올해 경영계획 기조를 긴축경영이라고 답했다. 그 다음은 현상유지(30.7%)와 확대경영(19.8%)으로 집계됐다. 긴축경영 방안으로는 인력부문 경영합리화(32.7%), 전사적 원가절감(22.1%), 사업부문 구조조정(17.3%) 등을 꼽았다. 인력부문 경영합리화의 구체적인 방법으로 조직개편(41.9%), 인원감축(22.6%), 임금조정(16.1%) 등을 꼽았다. 이들 기업은 국내 경기의 회복시점을 2019년 이후(47.1%)로 전망했다. 2018년을 꼽은 기업이 40.1%였고, 올해는 12.8%에 불과했다. 올해 경제성장률은 평균 2.3%로 전망했다. 올해 경영환경의 주된 어려움으로 정치·사회 불안, 민간소비 부진, 기업 투자심리 위축, 보호무역 강화, 중국경제 둔화 순으로 꼽았다. 기업들은 보호무역주의 강화에 따른 수출 부진 심화(64.4%)를 가장 우려했다.
현재 주력사업이 주요 수익원으로 활용 가능한 기간은 5년 미만(62.8%)이 가장 많았다. 5년 이상~10년 미만은 17.0%, 10년 이상은 20.3%로 나타났다. 올해 투자계획은 축소가 39.6%, 작년 수준 유지가 33.3%, 확대가 27.1%로 집계됐다. 고용규모는 작년 수준 유지(46.2%), 축소(35.8%), 확대(18.0%) 순이었다. 내수 부진을 타개하는 조치는 규제개혁 등을 통한 기업투자 촉진(43.1%)이 가장 많았고, 대규모 사회간접자본 투자확충(25.3%), 코리아 그랜드 세일 등 소비 진작대책 마련(12.8%), 최저임금 인상 등 취약계층 소득 향상(9.4%) 등이 뒤를 이었다. 차기 대통령 선호유형은 사회통합형, 성장지향형, 개혁추구형, 안정중시형 등의 순이었다. 차기 대통령이 갖춰야 할 덕목으로는 소통과 화합능력(43.4%), 도덕성과 청렴성(28.3%), 강력한 리더십(21.4%), 개혁성(6.9%) 순이었다. 이번 조사는 11월 21일부터 28일까지 경총 회원사와 주요 기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259개사 중 대기업은 90개사, 중소기업은 169개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