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5.08 (수)

  • 맑음동두천 16.7℃
  • 맑음강릉 14.6℃
  • 맑음서울 16.7℃
  • 맑음대전 16.9℃
  • 맑음대구 14.7℃
  • 맑음울산 12.2℃
  • 구름조금광주 17.8℃
  • 맑음부산 12.9℃
  • 맑음고창 15.1℃
  • 구름많음제주 16.1℃
  • 구름많음강화 14.6℃
  • 맑음보은 17.0℃
  • 맑음금산 15.8℃
  • 구름많음강진군 15.5℃
  • 맑음경주시 13.1℃
  • 맑음거제 13.2℃
기상청 제공
월간구독신청

교육/노동

사람인, “미혼 직장인 93% 맞벌이할 예정"

취업포털 사람인(대표 이정근)이 직장인 847명을 대상으로 ‘맞벌이 의향’을 주제로 조사한 결과, 미혼 직장인(534명)의 대부분인 93.4%가 ‘결혼 후 맞벌이를 할 생각’이라고 밝혔다. 지난해 조사 결과(80.9%)보다 맞벌이를 하겠다는 응답이 12.5%p 증가했다.
 
맞벌이를 하려는 이유로는 ‘경제적으로 여유 있게 생활하고 싶어서’(71.9%, 복수응답)를 첫 번째로 꼽았고, ‘외벌이로는 생활비가 부족해서’(68.1%)가 뒤를 이었다. 이외에도 ‘노후를 대비하기 위해서’(47.5%), ‘각자 자아실현을 할 수 있어서’(34.5%), ‘자녀 양육비를 위해서’(30.7%), ‘각자 경제적 독립이 필요해서’(25.9%), ‘대출금 등 빚을 빨리 갚기 위해서’(21.8%) 등의 답변이 있었다.
 
맞벌이 중단 시기는 ‘일할 능력이 될 때까지’(54.9%)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으며, ‘경제적으로 충분히 여유 있을 때까지’(23.8%), ‘자녀를 낳을 때까지’(5.6%), ‘노후자금이 충분히 마련될 때까지’(4.6%) 등을 들었다. 또, 48.3%는 결혼하려는 상대가 맞벌이를 할 의향이 없다면 결혼 불가 사유가 될 수 있다고 밝혔다. 맞벌이를 할 경우 적당하다고 생각하는 부부간 가사분담 비율은 평균 48:52(남성:여성)였다.
 
상대의 수입이 충분할 경우 맞벌이를 하지 않을 의향이 있는지를 묻는 질문에는 과반 이상인 70.1%가 ‘그렇다’라고 답했다. 이때, 배우자의 월 수입은(실수령액 기준) 평균 628만원으로 집계되었다. 기혼 직장인(313명) 중 65.2%가 현재 맞벌이를 하고 있으며, 만족 여부에 대해 ‘만족한다’(70.6%)는 응답이 ‘불만족한다’(29.4%)보다 2배 이상 더 많았다. 그 이유로는 ‘경제적으로 안정적인 삶을 살 수 있어서’(72.2%), ‘자아실현 등 개인 삶의 질을 높여서’(36.8%), ‘자녀 및 부모님 경제적 지원이 수월해서’(31.9%), ‘각자 독립된 경제권을 가지고 있어서’(19.4%), ‘회사생활의 어려움을 잘 이해해줘서’(16.7%) 등을 들었다.
 
맞벌이로 버는 부부 공동의 월 수입은 ‘450~500만원 미만’(16.7%), ‘600~650만원 미만’(13.7%), ‘500~550만원 미만’(12.7%), ‘350~400만원 미만’(10.3%), ‘400~450만원 미만’(9.3%), ‘550~600만원 미만’(7.4%) 등의 순으로 답해, 평균 543만원이었다. 하지만, 스트레스 여부에 대해 대부분인 92.6%가 ‘있다’라고 답했으며, 스트레스 1위는 ‘회사와 가사일의 병행’(60.3%, 복수응답)인 것으로 나타났다. ‘고생하는 것에 비해 적은 수입과 저축액’(48.7%), ‘자녀 직접 양육 문제’(33.3%), ‘가사 분담 정도에 대한 갈등’(29.1%), ‘자녀 교육 문제’(27%), ‘회사 스트레스로 인한 잦은 화풀이’(22.2%) 등을 꼽았다.
 
실제 가사 분담은 평균 36:64(남성:여성)로 한다고 답해, 미혼 직장인이 기대하는 것보다는 여성의 가사분담 비율이 더 높았다. 또, 자녀가 있는 맞벌이 직장인(125명)들의 경우, 80%는 자녀 양육 문제로 일을 그만두고 싶을 때가 있다고 밝혔다. 구체적으로는 ‘육아와 병행하느라 체력적으로 힘들 때’(52%), ‘자녀와 충분히 소통하지 못할 때’(50%), ‘육아분담이 불균형해 부부갈등이 생길 때’(26%), ‘직장에서 눈치를 줄 때’(25%), ‘대신 봐주는 부모님 등에 눈치 보일 때’(24%) 등이 있었다.



since 1995 대한뉴스 홈페이지 http://www.daehannews.kr에서 더 많은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