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정치와 종교간 적폐의 고리를 청산하라. 강제개종을 금지하고 강제개종행위자를 처벌할 구체적인 법안을 만들어 헌법과 법률에 의한 법치를 구현하라!’ 이는 전국8개 광역도시에서12만 여명의 시민들이 자발적 걷기대회에 나서 이 나라 정부를 향해 동시다발로 터뜨린 절규였다.
이번 '강제개종금지법제정촉구대회'는 꽃다운 20대 여성 故 구지인 양이 기성교단에 속하지 않는다는 이유로 개종할 것을 강요받다가 타살된 사실이 드러나면서 촉발이 됐다. 이번 대회는 지난달 27일동성로 대구백화점 앞 광장에서 세계여성평화인권위원회가 사망50일째를 맞은 故구지인 양의 합동분향소를 열어 추모식을 갖은 28일, 대규모 시민궐기대회에 이어 두 번째 행사다.
강제개종피해인권연대는 4일 대구와 서울 등 8개 주요도시에서 강제적인 개종반대와 개종목사의 처벌을 촉구하는 대규모 걷기대회를 열었다. 이날 12시 대구 반월당 네거리와 중앙 네거리 일대에는 시민1만여 명이 모여 한기총의 강제개종을 규탄했다. 같은 시간 서울 한국기독교총연합회와 기독교방송CBS 앞을 비롯해 부산, 대전, 강원, 전남, 전북 등 전국 총12만여 명이 한 목소리로 강제개종목사의 처벌을 주장했다.
대구대회 1부에는 개종목사의 사주를 받은 부모에 의해 사망한 故 구지인 씨에 대한 추모식과 강제 개종에 대한 영상 방영, 강제개종금지 성명서 발표, 강제개종 무언극 등의 행사가 진행됐고 2부 행사는 개종목사 처벌을 촉구하고 희생자를 추모하는 걷기대회로 이어졌다.
강피연은 성명을 통해 한국기독교총회와 종교방송 CBS에 대한 적폐청산을 주장했다. 손용호 강피연 대구경북지부장은 "대한민국의 종교언론은 적폐의 대상이다. CBS를 비롯해 종교방송국은 살인까지 부른 강제개종에 대해 눈을 가리고 귀를 막으며 인권에 등을 돌리고 있다. 살아있는 정론직필의 언론이라면 대한민국 종교계에서 벌어지고 있는 강제개종의 참상을 낱낱이 보도해 만천하에 이를 알려야 할 것"이라고 힘주어 말했다. 또한, 해외언론이 이 나라 강제개종실태의 잔혹한 실상을 낱낱이 특종보도를 하고 수십만 명에 달하는 국민들이 그 진상을 알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정작 이 나라 사정기관은 묵묵부답으로 일관, 정·종유착의 극치를 보여주고 있다고 비판했다.
강피연은 “종교계의 IS! 살인마 한기총의 강제개종 교육을 즉각 중단하라!” 강제개종을 반대하는 시민들은 중앙로네거리에서 반월당네거리까지 약 1.7km를 행진하며 강제개종목사의 처벌과 허위 왜곡 보도를 일삼는 CBS의 폐쇄를 촉구했다.
강피연에 따르면 강제 개종으로 인한 사망자는 지난2007년 이후 두 번째다. 그러나 정부는 이 같은 인권유린을 종교 문제로 축소시키고 방치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이번 사건과 관련해 종교 관련 담당부서인 문화체육관광부는 사법당에 책임을 미뤘고 사법당국 역시 미온적인 태도로 일관하고 있다. 심지어 청와대는 강제개종실태를 조사하라는 14만 명의 국민청원을 이렇다 할 해명이나 설명도 없이 삭제한 바 있다.
현 기독교계는 신생교단 신도들에 대해 강제개종을 암묵적으로 용인하며 이단상담소까지 보호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여기에 기독교언론까지 합세해 강제개종으로 인한 인권문제는 철저히 외면당하고 있으며 오히려 불법적인 강제개종을 부추기고 있는 실정이다.
강피연 관계자는 “강제개종피해자는 현재까지 확인된 것만 1천여 명이며 실제로 훨씬 더 많을 것이다. 대다수 피해자가 개신교 비주류교단 신도라는 이유로 종교계는 물론이고 정부, 사법당국, 언론마저 이를 묵인하고 있다”며 “과연 개신교 교단에서 발생한 문제라도 이렇게 방치했을지 의문이다. 이 같은 차별은 헌법정신에 배치하는 것”이라고 성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