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안부가 국민들의 일상생활에서 자주 접할 수 있는 위험요소 등 안전정보를 언제, 어디서든 지도로 쉽게 확인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에 솔선해 정책 홍보에 나섰다.
행안부는 지난1월31일부터 각 기관에 흩어져 있는 범죄 및 교통사고 발생현황, 대피시설, 미세먼지 등 안전정보 200여 종을 한 곳에 모아 지도형태로 시각화된 생활안전지도(www.safemap.go.kr) 전국 서비스를 4대 분야에서 8대 분야로 확대해 본격 공개하고 있다.
기존의 ①교통(무단횡단사고 다발지역 등 13종), ②재난(지진발생이력 등 13종), ③치안(시간대별 안전녹색길 등 45종), ④취약계층 맞춤안전(여성밤길 치안안전 등 19종)에 추가로 확대된 4가지는 ⑤시설안전(폐기물 처리시설 등 14종), ⑥산업안전(산업재해 수 등 11종), ⑦보건안전(자살발생 통계 등 56종), ⑧사고안전(어린이 놀이시설 안전정보 등 16종) 등이다.
서비스 내용은 ‘안전지도 187종, 병원·경찰서 등 안전시설 위치정보 44종 및 미세먼지·교통돌발(사고·공사)정보 등 실시간 정보 11종이 제공되며 그동안 인터넷 웹(Web)에서만 공개하던 의료시설, 대피시설(민방위 대피소, 지진해일 대피장소, 지진 옥외 대피소, 이재민 임시 주거시설) 등 안전시설 위치정보(37종)를 모바일 앱(App)에서도 이용할 수 있도록 했다.
전국 서비스 확대뿐만 아니라 메뉴 구조와 디자인 등을 전면 개편해 사용자 편의성을 크게 개선했다. 먼저, 지도정보의 응답속도가 크게 개선(최장 9초→3초 이내) 됐으며 메뉴구조와 아이콘을 단순하고 이해하기 쉬운 디자인으로 전면 개편이 됐다.
특히, 국민적 관심이 높은 교통사고 발생현황과 4대 범죄(강도, 성폭력, 폭력, 절도)치안사고 발생현황에 대해서는 연도별 변화를 확인 할 수 있도록 비교 정보를 웹(Web) 서비스에서 제공된다. 또한, 내가 위치한 곳 주변에서 사고가 발생한 적이 있는 정보 목록을 표출해 주어 모바일 앱(App)에서 해당 정보를 빠르게 확인 할 수 있다.
행정안전부는 공공 및 민간 각 분야에서 기 구축된 안전정보 데이터의 공동이용을 통해 각종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국민의 안전한 생활에 도움이 되도록 원천자료 제공기관과 협력을 강화하는 한편, 향후 배경지도, 안전시설 정보 및 안전정보의 갱신주기 단축 등 최신 정보 제공을 위해 더욱 노력해 나갈 계획이다.
김석진 행정안전부 안전정책실장은 “이번 생활안전지도 전국 서비스 확대 개편으로 국민들에게는 ‘안전한 생활의 길잡이‘로, 공공·민간 기업에게는 안전정보 데이터를 활용한 ‘안전 관련 응용 서비스 창출 계기‘로, 지방자치단체에게는 ‘지역안전 개선정책 수립의 기초자료와 재난 대비 강화‘에 많이 활용되기를 바란다.” 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