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21 (월)

  • 구름많음동두천 24.7℃
  • 맑음강릉 23.1℃
  • 구름많음서울 27.0℃
  • 구름많음대전 26.2℃
  • 구름많음대구 24.4℃
  • 맑음울산 20.9℃
  • 구름조금광주 25.9℃
  • 맑음부산 19.0℃
  • 구름많음고창 25.2℃
  • 구름조금제주 26.3℃
  • 구름조금강화 23.3℃
  • 맑음보은 24.0℃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3.3℃
  • 맑음거제 20.4℃
기상청 제공
월간구독신청

교육/노동

사람인, “구직자 10명 중 8명, 반복된 좌절로 ‘학습된 무기력’ 심각”



사람인이 구직자 647명을 대상으로 ‘학습된 무기력’에 대해 조사한 결과 구직자의 82.5% 는 어떤 시도를 해도 바뀌지 않을 것 같아 미리 포기하는 ‘학습된 무기력’을 겪었다고 답했다.


무기력을 느끼는 원인 1위는 ‘반복되는 불합격으로 인한 자괴감’(48.1%)이었다. 이어 ‘막연한 불안감 때문에’(43.6%), ‘남들과 비교로 인한 상대적 박탈감 때문에’(38.4%), ‘노력해도 극복할 수 없는 상황이 지속돼서’(38.2%), ‘경쟁이 너무 치열해서’(24.2%) 등의 이유가 있었다.


이러한 학습된 무기력은 구직활동에도 영향을 미쳤다. 이들의 53.9%는 ‘취업의지가 점점 없어진다’고 응답했으며, ‘아무것도 안하고 집에만 있는 시간이 늘어났다’(47.6%)는 이들도 많았다. 다음으로 ‘적극적인 구직활동을 하지 않음’(45.9%), ‘자신감 결여로 입사지원 빈도수가 적어짐’(35.4%), ‘하고 싶은 일이나 입사하고 싶은 기업이 없어짐’(28.1%) 등의 영향이 있다고 답했다.


이러한 무기력증으로 구직활동을 중단한 적이 있거나 중단하고 싶다는 생각을 한다는 응답자는 무려 90.3%나 됐다. 실제로 지난 3월 발표된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비경제활동 인구 중 ‘그냥 쉬었음’으로 분류된 사람은 202만명에 달했다. 관련 통계가 집계 된 이후 최대 수치로 20대에서 ‘그냥 쉬었음’으로 분류되는 사람은 10년전에 비해 14.6%가 늘어났다.


‘학습된 무기력’은 장기화된 경기침체, 사회양극화, 청년실업률 등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하기 때문에, 무기력을 느꼈던 구직자들은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개인적 노력’(44.2%) 보다는 ‘사회적 정책 및 인식변화’(55.8%)가 더 중요하다고 생각했다.



since 1995 대한뉴스 홈페이지 http://www.daehannews.kr에서 더 많은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