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경 지역 단체장 부부동반 연석회의가 있었던 지난 3월29일 공교롭게도 의성군 가음면에 산불이 발생 돼 후손에게 물려 줄 아까운 산림자원(소나무)이 큰 피해를 입었다.
이날 의성군수는 자기 지역에 산불이 발생된 사실을 보고받았으나 연석회의를 하던 울릉군이 도서지역인 탓에 즉시 산불현장에서 진두지휘 할 수가 없어 군민의 원성을 샀다.
문제는 산림헬기와 소방차가 대동돼 산불을 진화하고 난 이후부터 불거지기 시작했다. 당시 군 관계자는 경북도와 산림청에 산림피해 면적 실제18.44ha를 2ha로 통일시켜 축소보고를 했기 때문이다.
축소보고의 연유는 산불발생의 경우 상급기관과 정부기관을 거쳐 청와대에까지 보고를 해야 했기 때문에 관할지역 도지사와 군수가 임지를 벗어나 도서지역에 가 있었기 때문으로 추정됐다.
뿐만이 아니라 의성군의 고의적 축소보고사실을 모른 체 지방언론들은 현장실사 한 차례 없이 군의 축소보고내용을 그대로 받아 산불발생 사건을 지상보도 했다.
이러한 정황은 본보취재진이 30일 현장취재에서 육안으로 드러난 것 10ha추정분석 외에도 최근 경북도와 산림청 등의 기관 취재를 통해 확인된 실제 피해 면적이 18.44ha로 드러나면서 경북도와 군의 면책 성 허위축소보고사실이 큰 파장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이는 경북도와 의성군이 도 산하 지자체 단체장들의 부부동반 연석회의 장소로 울릉군을 선택한 자체가 외유로 비쳐져 여론이 악화되자 청와대의 문책을 감안한 듯 1차 축소보고를 했다가 여론이 잠잠해진 2차 보고에서는 수 십 배가 넘는 피해상황을 드러내 놓았기 때문이다.
이 같은 사실은 본보취재진이 현장 취재를 하는 과정에서 산불피해 면적이 의성군이 밝힌 2ha에 수 십 배는 넘을 것이란 육안계산에 따라 군 측에 정보공개요청절차에 따라 확인된 사실로 도민과 군민들의 단체장에 대한 질책이 이어지고 있다.
이는 당초 의성군이 본보에 내어 놓은 산불피해상황은 지난 5월23일 내어준 1차 산불피해액 산정표 에는 1억800여원에 불과했으나 2차산정표에는 무려5억8,052만원이 껑충 뛴 6억8,852여만 원으로 증액됐기 때문이다.
더구나 의성군 산림과장은 본보기자와 전화취재답변에서 1차 산불지역에 소나무는 흉고 직경6cm의 소나무15,85㎥로 79만5,000여원과 조림복구비용1,114만여 원이라고 밝혔으나 2차 정보공개에서는 수 십 배가 넘는 소나무1441.5㎥에 따른 피해액만도 8,861만 여원과 조림복구비용 1억5,729만여 원으로 큰 차이를 보였다.
이날 산불진화지휘자는 의성 부 군수였고 현장을 지키고 있던 가음면장은 “피해 면적이 군에서 발표한 그대로 이다”라며 말을 아꼈다.
산림손실면적이 달라지면 피해액도 달라진다는 함수관계의 이치에서 당초, 2차 산림피해조사 시 곧 밝혀질 산불피해액을 군과 도가 왜 굳이 축소보고를 했을까하는 의문 속에는 대·경 지역 단체장들의 연석회의와 부부동반 울릉군 봄나들이 여론을 잠재우기 위한 잔꾀의혹으로 비쳐지고 있다.
산림은 후손에게 물려줄 천혜의 유산이다. 한그루의 나무를 심는 정성보다 심겨진 나무 한그루를 잘 가꿔야 한다는 지구촌 석학들의 명언과 달리 수십 년생 소나무들이 인간의 방심과 부주의로 소실돼 재가 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