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실효성 없는 '탈(脫)원전' 정책이 신 성장 산업으로 부각돼 오던 전기 차 충전요금 인상이라는 피치 못할 부메랑으로 돌아오고 있어 현재 전기차를 사용하고 있는 시민들의 불만이 고조될 전망이다.
전기차가 성공하려면 연료비인 '값싼 전기료'가 필수지만, 탈 원전으로 대규모 적자를 내고 있는 한국전력이 전기 차 충전요금 할인율을 부담해줄 여력이 없어졌기 때문이다.
결국 한전은 지난해 12월 전기 차 충전기에 적용했던 기본요금 면제 혜택과 사용 요금 할인을 올 하반기부터 단계적으로 없앤다는 발표를 냈다.
이에 충전기를 민간사업자들은 “현재도 적자를 보고 있는 터에 망하지 않으려면 가격을 2~3배 올릴 수밖에 없다”면서 “이 과정에서 전기 차 구매나 수요가 줄고, 신산업의 적자악순환이 일어날 것”이라고 지적했다.
지난해 코나 EV 전기차를 구입해 사용하고 있는 회사원 P모(55)씨는 ‘오는7월부터 전기 차 충전요금이 2배가량 오를 것’이란 소식에 울분을 터뜨리고 있다.
P 씨는 “코나 가솔린차보다 1,000만원이 더 비싸고 충전과정도 불편한 전기차를 구입한 것은 정부시책에 따른 친환경 차라는 자부심에 더해 저렴한 충전 요금 때문 이었다”라며 “충전요금을 2배 올린다는 것은 말도 안 되는 소리다”는 불만의 목소리를 높였다.
신산업인 전기차가 성공하려면 '값싼 전기료'가 필수지만 만성적자를 안고 있는 한전이 지난해12월 전기 차 충전기에 적용했던 기본요금 면제 혜택과 사용 요금 할인을 올 하반기부터 단계적으로 없애기로 했기 때문이다.
한전 관계자는 “그동안 적용됐던 특례 할인이 중지되는 것일 뿐 추가 인상하는 게 아니다”라며 “정부정책인 탈 원전과는 관계가 없다”고 말해 공기업으로서 궁핍한 답변을 내 놓아 신산업 전기 차 사업전반에 적신호가 켜졌다.
한편 구미시 관내 전기자동차는 현재 공공용5대, 자가용 20대, 외제승용차 42대, 승용다목적용 228대, 영업용 4대로 총299대가 운행 중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