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통합당 김종인 비상대책위원장이 19일 오전 광주 북구 국립 5·18 민주묘지에서 무릎을 꿇고 참배하고 있다.
미래통합당 김종인 비상대책위원장이 19일 광주를 방문해 자신이 직접 작성한 사과문을 5·18 묘지 앞에서 낭독하면서 "광주에서 비극적 사건이 일어났음에도 그것을 부정하고 5월 정신을 훼손하는 일부 사람들의 어긋난 발언과 행동에 저희 당이 엄중한 회초리를 들지 못했다"면서 "그동안 잘못된 언행에 당을 책임진 사람으로서 진실한 사죄를 드린다"고 밝혔다.
또한 그는 "역사적 화해는 가해자의 통렬한 반성과 고백을 통해 이상적으로 완성될 수 있지만, 권력자의 진심 어린 성찰을 마냥 기대할 수 없는 상황에서 제가 대표해서 이렇게 무릎을 꿇는다"고 사과했다.
김 위원장은 "5·18 민주 영령과 광주 시민 앞에 이렇게 용서를 구한다"며 "부끄럽고, 부끄럽고, 죄송하고, 또 죄송하다. 너무 늦게 찾아왔다. 벌써 100번 사과하고 반성했어야 마땅한데, 이제야 그 첫걸음을 떼었다"고 고개를 숙였다.
그는 사과문 낭독을 마친 뒤 추모탑에 헌화하고 15초가량 무릎을 꿇었다. 보수정당 대표가 추모탑 앞에서 무릎을 꿇은 것은 처음이라고 당 관계자는 전했다.
이어 윤상원·박기순 열사 묘역에 이어 행방불명자 묘역에서도 묵념하고 헌화했다.
앞서 5·18 묘지 방명록에도 김 위원장은 "5·18 민주화 정신을 받들어 민주주의 발전에 최선을 다하겠습니다"고 적었다.
또 "과거 5·18에 대해서 망언을 하신 분들은 이미 당에서 다 멀리 떨어져 계시지 않나 생각한다"며 "앞으로 그러한 일이 만에 하나라도 또 발생하면 당이 철저히 대처해나갈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