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30 (수)

  •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대전 25.8℃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보은 25.4℃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월간구독신청

추천기사

세상 돋보기 고전의 지혜-안보당거 安步當車 - 安편안할(안) 步걸음(보) 當당할(당) 車수레차(거)

고사성어는 수천 년에 걸쳐 전승된 삶의 지혜와 교훈을 담고 있어서 그 내용을 알면 세상을 더 잘 이해할 수 있다. 압축과 절제의 간결한 언어 구사에 있어서 고사성어를 따를 것이 없다. 정치는 언어의 예술이라고 하는데 정치뿐만 아니라 기업, 행정, 학계 등 모든 분야에서 유용하게 쓰인다. 이번에는 한 해를 어떻게 보낼 것인지 관련 고사성어를 살펴보자.

편안하게 걷는 것이 수레를 타는 것보다 편안하다는 뜻이다. 벼슬자리를 부러워하지 않는 청렴한 생활을 비유하는 고사성어. 출전은 《전국책(戰國策)의 제책(齊策)》 편에 실려있다. 어느 날 왕은 훌륭하다고 소문난 한 선비를 만나고 싶어 궁궐에 초대했다. 선비가 왔다는 말에 왕은 궁궐 앞까지 마중을 나갔는데 왕을 본 선비는 그 자리에 서서 꼼짝하지 않았다. 왕이 선비에게 가까이 오라고 하자 선비는 오히려 왕에게 가까이 오라고 했다. 왕이 호통을 치자 선비가 말했다. “왕이 선비에게 예의를 지키는 것이, 선비가 왕의 권세에 굽히는 것보다 낫지 않겠냐?”고 말했다. 화가 난 왕은 왕과 선비 중 누가 더 귀하냐고 물었다.

 

그러자 선비가 대답했다. “예전에 어떤 왕이 생전에 덕망이 높았던 선비의 묘를 훼손하는 자에게는 사형을 내리겠다”라고 하면서 “적국 왕의 머리를 가져오는 자에게는 벼슬을 내리겠다”라고 말했다는 예를 들었다. 그러면서 “죽은 선비의 묘가 살아있는 왕의 머리보다 귀하지 않은가!”라고 대답했다. 왕은 선비의 말에서 큰 깨달음을 얻어 선비에게 높은 벼슬을 제안했다. 그러자 선비는 그 벼슬을 거절하며 말했다. “늦게 밥을 먹는 것이 고기를 먹는 것보다 맛있고, 느긋하게 걸어 다니는 것이 수레를 타는 것보다 편하고, 죄 없이 사는 것이 부귀영화보다 귀합니다. 또한 청렴하고 바르게 살면 스스로가 즐겁습니다”라고 했다. 그 선비는 전국시대 제나라의 안촉이라는 사람이다.

 

이 이야기로부터 수레를 타는 것보다 느긋하게 걷는 것이 낫다는, 즉 출세나 명예를 얻는 것보다 죄 없이 청렴하게 사는 것이 더 낫다는 ‘안보당거’라는 말이 나왔다. 안촉은 채워서는 행복해질 수 없고 비워야 행복해진다는 이치를 깨달은 사람이었다. 또한 작은 차를 타면 큰 차를 타고 싶고 그다음엔 외제차를 타고 싶어 하는 갑남을녀들과는 다른 사람이었음이 분명하다.

 

프로필 사진
박혜숙 기자

'정직,정론, 정필'의 대한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