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2 (금)

  •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대전 25.8℃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보은 25.4℃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월간구독신청

정부정책

여성가족부, ‘언론 속의 미투’주제 합동토론회 개최

여성가족부는  ‘언론 속의 미투’를 주제로 4월 25일(수) 오전 10시 명동 포스트타워 10층 대회의실에서 학계와 언론계, 시민단체가 한 자리에 모이는 합동토론회를 개최한다. 여성가족부 주최․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주관으로 열리는 이날 토론회는 지난 1월 검찰 내 성희롱 고발 이후 본격화된 국내 미투 운동과 언론보도로 인해 겪는 2차 피해문제를 짚어보고, 언론보도가 나아가야 할 올바른 방향을 논의한다.


이번 토론회는 설진아 교수(방송통신대학교·한국커뮤니케이션학회 회장) 사회로 진행되며, 언론학자 최이숙 교수(동아대학교)와 한희정 교수(국민대학교)가 발제를 맡았다. 최이숙 교수는 언론이 ‘성폭력 사건보도 가이드라인’(안내서)을 준수하지 않아 취재 및 보도과정에서 성범죄 피해자와 그 가족에게 2차 피해를 유발하는 실상을 지적하고, 방지 방안에 대해 발표한다. 한희정 교수는 주요 미투 사건 관련 기사 댓글의 질적 분석을 통해 성폭력 사건을 둘러싼 통념의 유형을 발표한다. 또한 온라인 상 표현의 자유도 중요하지만 피해자의 인격권도 최대한 보호되어야 함을 강조한다.


이어진 토론에는 각각 학계, 언론, 시민단체를 대표해 6명이 나선다. 언론계 고희경 기자(SBS전략뉴스부장)은 언론사마다 성폭력 취재보도에 대한 세밀한 가이드라인(안내지침)을 만들고, 2차 피해에 대한 적극적인 취재 및 보도로 강력한 수사와 처벌을 촉구해야 한다는 견해를 밝힌다. 김완 기자(한겨레)는 그간 한국 언론의 미투 보도는 남성중심 가부장사회에서 억눌려온 폭력문제의 본질을 들여다보기보다는 권력자가 파괴되는 모습에 관심을 집중해왔다고 지적하고, 그 결과 근본적 구조변화 없이 미투 운동이 소멸될 수 있다는 우려를 전한다. 


한편, 학계 김수아 교수(서울대 기초교육원)는 취재원을 어떻게 접촉하는가부터 시작해 보도 후의 과정까지 고려하는 언론 취재윤리의 고민이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시민단체의 배나은 활동가(민주언론시민연합)는 성폭력 보도에 국한하지 않고, 보도 전반의 젠더감수성을 높이기 위한 개별 언론사들의 노력이 반드시 병행되어야 한다고 강조한다. 정슬아 사무국장(한국여성민우회 미디어운동본부)은 미투 운동 시 피해자가 직접 방송이나 개인 사회관계망서비스(SNS) 계정에 실명과 얼굴을 드러내는 것이 곧 언론에서 개인신상정보를 밝혀도 좋다는 승인의 뜻인지에 대해 함께 고민해 볼 것을 제안한다.


한편, 여성가족부는 성폭력 관련 보도 개선을 위해 한국커뮤니케이션학회와 함께 연구용역을 진행 중이며, ‘성폭력 사건 보도수첩’을 한국기자협회와 함께 개정해 5월 중 각 언론사에 배포할 계획이다.



since 1995 대한뉴스 홈페이지 http://www.daehannews.kr에서 더 많은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