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뉴스 최병철 기자)=정부가 13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환자가 대거 발생한 대구경북 지역을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하기 위한 절차에 돌입했다.
정세균 국무총리는 코로나19 최대 피해지역인 대구경북 지역을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하는 것과 관련해 “현재 관련절차를 진행하고 있으며, 마무리 되는대로 조만간 대통령님께 정식으로 건의할 것”이라고 밝혔다.
정 총리는 이날 대구시청에서 주재한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에서 “대구경북 지역을 재난 및 안전관리기본법상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하는 것에 대해 대통령님께 상의 드렸다”며 이같이 말했다.
앞서 권영진 대구시장과 이철우 경북지사는 전날 민주당과 미래통합당 원내대표와 국회의장, 청와대 정책실장, 행정안전부장관 등을 만나 대구경북 지역을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해 달라고 요청한 바 있다.
정 총리는 “대구에서 첫 환자가 발생한 지 3주가 넘어가면서, 대구와 경북의 신규 확진자는 크게 감소하고 있다. 생활치료센터와 병상이 빠르게 확충되고 자리를 잡아가고 있다”며 “대기하는 분들은 대폭 줄었고 완치자들이 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가장 급했던 순간이 지나가면서 대구경북 시민들의 상처가 드러나고 있다”며 “대구경북 시민들은 일상을 잃어버리고 생활에 큰 타격을 입었다”고 지적하며 대구경북 지역을 특별재난지역 선포 필요성을 강조했다.
정 총리는 또 “한시도 긴장을 놓을 수 없고, 앞으로 방역수위를 더욱 높이고 철저하고 꼼꼼하게 선제적으로 대처해 나가야 하겠다”며 “대구에서의 경험이 이 전투에서 우리의 소중한 무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정 총리는 “코로나19와의 전투는 대구경북을 넘어서 전국, 나아가서 전 세계적 싸움이 되고 있다. 신천지 사태나 서울 콜센터 사례와 같은 집단 감염은 전국 어디서든 발생할 수 있다”며 “세계적 대유행은 국외로부터의 신규유입도 만만치 않은 위험요소가 될 수 있음을 경고하고 있다”고 했다.
아울러 “최근 20여명의 정부세종청사 공무원이 확진자로 밝혀지면서 정부 기능이 영향을 받지는 않을지 국민들께서 많이 우려하고 있다” “어제 중부권에 이어 오늘은 정부기관이 밀집돼 있는 세종, 대전, 충청권의 방역상황을 점검하겠다”고 밝혔다.
정세균 국무총리는 전날부터 대구에 다시 체류하면서 집단감염 사례가 잇따르는 대구지역 콜센터 관련 방역상황을 중점적으로 점검하고, 병상과 생활치료센터 확보 상황도 살펴볼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