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뉴스 최병철 기자)=대구시는 지역건설산업과 경제 활성화를 위해 지역건설업체 수주 확대를 위한 지원방안을 수립해 시행한다.
7일 대구시에 따르면 재건축·재개발사업 등 민간공동주택 분양 호조로 지역 내 발주물량은 지난 2016년 4조4000억원에서 2017년 4조1000억원, 2018년 6조8000억원으로 증가했다.
하지만 지역 내 수주물량은 지역 대형건설사 부재와 유명브랜드 선호 등으로 2016년 1조8000억원, 2017년 1조9000억원 2018년 2조원으로 발주물량을 따라가지 못하고 있어 지역업체의 민간부문 수주확대 지원방안이 요구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대구시는 공공건설공사의 경우 계획단계에서 예정가격 100억원 이상 모든 대형공공건설공사에 대한 발주계획 설명회를 개최한다.
설계단계에서는 적정 공구분할로 다수 지역업체 참여기회를 제공하는 지역업체 보호방안 협의 의무화를 추진한다.
공사시행단계에서는 지역하도급 이행계획서 제출 의무화 및 준수여부 점검 강화 등 강력한 지역업체 하도급률 제고조치를 추진한다.
일반 민영주택사업은 토지확보단계에서 대구도시공사가 공급하는 공동주택용지 중 일정부분을 지역 주택건설사업자에게 우선 공급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사업승인단계에서 지역업체가 참여할 경우 교통·건축·경관심의를 통합해 인·허가 절차 간소화를 지원한다.
재개발·재건축 정비사업은 계획 및 조합설립 단계부터 주민, 추진위원회, 정비업체를 대상으로 찾아가는 지역업체 인센티브 홍보를 추진하고 사업승인단계에서 지역업체가 참여할 경우 통합심의를 통한 인·허가 절차를 간소화한다.
지역업체 하도급률 제고를 위해 민영주택사업과 정비사업의 사업승인단계에서 시행사 및 시공사의 경영진 면담, 사업시행단계에서 지역하도급 이행계획서 제출 의무화, 하도급 실태점검 및 후속조치 강화 등 건설사업 유형별·단계별 지원방안을 마련했다.
이를 위해 대구시는 올해 말 ‘대구광역시 지역건설산업활성화 조례’를 개정해 시행한다는 계획이다.
김창엽 대구시 도시재창조국장은 “지역 건설업체의 수주를 확대하면 지역 내수 부양과 고용창출로 이어져 지역경제가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며 “이를 위해 앞으로도 다각적인 방안을 강구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