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958년 1월, 국내 최초의 DLF차관 조인식. 이양구 회장(가운데) 옆에 송인상 부흥부장관, 뒤에 백영훈 원장이 자리하고 있다. 1959년 서독에서 한국인 최초로 경제학박사 학위(최고 등급)를 받은 백영훈 원장은 한국으로 돌아와 국제학술원 주요 멤버가 되었다. 마침 영국 옥스포드대학교 대학원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고 귀국한 이동원 박사(1926~2006, 전 외무부 장관, 주 스위스 대사)와 함께 지금의 낙원상가 자리에 국제학술원을 개원하고, 월간지『국제평론』과 우리나라 최초의 영자잡지『Korean Quarter』를 발행하며, 세미나도 열고, 강의도 했다. 당시 젊은 엘리트들이 많이 모였으며 주된 논쟁거리는 국가의 장래였다. 이들의 뒤에서 후원해주던 이가 바로 서남 이양구 사업가다. 젊은이들이 국가의 장래를 위해 열심히 일해 줄 것으로 믿었으며, 그 당시 멤버들은 그 기대를 저버리지 않고 국가의 발전에 기여했다. 국제학술원 설립자 이양구 국제학술원 설립자였던 서남(瑞南) 이양구(1916년∼1989) 동양시멘트 사장은 함경남도 함주 출생으로 1956년 동양제과공업주식회사를 설립했으며, 1962년 한국경제인연합회를 창
60년 6월 12일 대한뉴스는 영상에는 권농일(모심기) 기념식행사를 원예시험장에서 열렸다. 이어진 소식에서는 6사단 도하작전 소식과 보건사회부에서 실시한 시범위생도시 지정, 창덕궁 인정전 앞에서 열린 국악 연주회, 칠레 지진피해 및 지원, 대서양 범유다에서의 해변 패션쇼, 영국에서 열린 경마를 전하고 있다.
64년 5월 30일 제470호 대한뉴스에서는 송충이 잡기 운동을 보도했다. 방송에서는 서울시청 앞 광장에 시민과 학생들이 모여 송충이 잡기 운동 행사를 펼쳐다. 이날 서울 동작동 국군묘지 임야에 10만 나무가 앙상한 가지를 드러내고 있어 국회의원, 시민, 학생 등이 동원하여 구충작업을 실시하고 있다.
본 영상에서 이승만 대통령이 지방시찰 논산훈련소 방문, 철도 60주년 기념, 추석잔치, 미 국회의사당 재건축, 영국의 관광용 꼬마기차 소식을 영상으로 만나 보실 수 있다. 1959년 9월 21일 국내 최초의 아이스쇼가 열렸다. 아름다운 은반위의 요정들의 모습에 이어서 '59 미스아메리카 선발대회 소식이 준비되어 있다.
다시보는 대한늬우스 영상에서는 제21회 몬트리올 올림픽 축구 아시아 3조 예선전이 서울 동대문운동장에서 열렸다.이날 한국대일본 경기 전반 3분에 김진국 선수가 첫 골을 성공시킨다. 그리고 후반전 들어 2대2 동점으로 경기가 끝났다. 이어진 영상에서는 1976년 몬트리올 올림픽에 참가한 당시의 우리 유도 대표팀 선수와 여자 배구 대표팀 선수들이 선전하는 감동적인 모습을 보실 수 있다. 이 외에 몬트리올 현지에서 우리나라 레슬링 사상 첫 금메달 현장에서 애국가가 울려 퍼지는 장면, 시청 앞 광장에서 선수 대표팀 환영식이 열리는 아름다운 장면 등을 만나보실 수 있다.
포항제철공장은 1973년 7월3일 준공식이 열렸다. 3년 3개월 동안에 10개 단위 공장, 12개 부대시설이 준공됐다. 이날 준공식에서 박정희 대통령은공로가 있는국내외 15명 인사에게 산업훈장과 산업포장을 수여했다. 박대통령은 축사에서 “1천200억 규모로 연간 13만 톤 조강생산능력은 우리나라의 가장 큰 공장이지만 이제 우리의 출발이다.”며 “1976년 260만 톤, 79년 700만 톤으로 확장하면서 천만 톤 규모의 제2종합제철공장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동촌동 일대에 1968년에 건설된 국내 최초의 고로(高爐:용광로) 업체로 세계 2위의 철강 회사이다.주제품은 열간압연·냉간압연, 후판, 선재, 강편 등이다. 1970~1973년 103만t 규모의 포항제철소 제1기공사의 준공과 함께 가동을 개시하였으며 총 4기의 고로와 주물선고로 1기, 코렉스로 1기를 보유하고 있다.광양제철소는 1987년 착공하였으며 현재 5기의 고로가 있다. 연간 2800만t의 철강을 생산한다.
4월 22일은 새마을의 날이다.대한뉴스 883호에서는 새마을운동의 노래 “새벽종이 울렸네”을 노래와 가사가 영상으로 소개하고 있다. 노래 가사는 “새벽종이 울렸네 새아침이 밝았네. 너도나도 일어나 새마을을 가꾸세. 살기좋은 내마을 우리 힘으로 만드세” 이다 1970년대 농촌경제 성장의 일환인 '잘 살아보세'라는 구호를 토대로 시작된 새마을 운동을했다. 새마을 운동을 성공적으로 이끈 원동력은 무엇이었을까요? 새마을 운동의 시작부터 확산 과정까지, 당시 새마을 운동을 전파하고 교육한 류태영 이사장님께 직접 들어보겠다는 예고 영상이다.(동영상 링크= 유튜브 KTV)
이번 영상 대한뉴스에서는 문화재 복원및 보수 공사, 수도변호사회 창립총회, 어선 진수식, 목초의 날 기념식, 월남소식에서 대민지원 사업으로 마을에 1km 파이프를 연결 공사로 식수 조달에 참여한 백마부대, 돼지-닭 등 90마리를 세대별 무상 제공하는 비둘기부대 소식을 전하고 있다.
본 영상은 1957년 5월 20일 방영한 대한뉴스 영상이다. 영상에는 동대문 보수공사, 주중 군사고문단 6군단 시찰, 미군의 날, 미스코리아 선발, 조기잡이, 국보문화재 전시회, 동남아예술 사절단 귀국, 춘계전국실업야구개막 등 현장을 엿볼 수 있다.
본 영상은 대한뉴스 제360호 꽃씨 날리기다. 영상에는 우리나라 최초 꽃씨날리기 대회로 지난 62년 4월 8일 서울 시청 앞 광장에서 있었다. 이날 5천여 명의 소녀들이 맨드라미, 나팔꽃, 코스모스 등을 풍선에 넣어 날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