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1년 11월11일 오후 일본을 방문한 박정희 전 대통령(당시 국가재건최고회의 의장)은 이케다 하야토(池田勇人) 당시 일본 총리가 마련한 환영만찬에서 이렇게 과거사를 접겠다고 공언했다. 이어 이튿날인 12일 오전 10시 해방 후 처음으로 열린 한일 정상회담에서 박 전 대통령과 이케다 전 총리는 서로에게 ‘명예롭지 못한’ 식민·피식민의 과거사는 일절 따지지 않은 채 그야말로 ‘미래지향적인’ 한일관계에 대해서만 논의했다. 윤석열 대통령은 2023년 5월 7일 "(한일) 양국이 과거사가 완전히 정리되지 않으면 미래 협력을 위해 한발자국도 내디딜 수 없다는 인식에서는 벗어나야 한다고 생각한다"며 용산 대통령실에서 가진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와 확대 정상회담 모두발언을 통해 밝혔다.
(대한뉴스 윤병하 기자)=어버이날은 처음에는 1956년 5월 8일을 어머니 날 기념일로 지정하였다가 1973년 3월 30일 "어버이 날'로 바뀌었다.1956년 5월 8일 제1회 어머니날 행사 이후 17년을 기념일로 하다가 70년대에 들어와 “아버지날은?” 라는 아버지들의 섭섭함이 거론되기도 하여 1973년 5월 8일부터는 어버이 날로 기념하게 되었다. 우리나라 어머니 날의 유래는 50년대 한국전쟁 이후 고아와 남편없이 혼자 사는 여성들이 많아 아이들을 혼자 키우는 여성들이 많았다. 그래서 5월 8일 어머니 날 기념일에는 "장한 어머니"로 뽑힌 어머니들에게 상장과 상품을 주는 행사가 많았다. 고시 수석 합격자의 어머니, 유명 운동 선수의 어머니 등 혼자서 아이들 교육에 힘쓴 어머니를 선발하여 상을 주었다.
박정희의 국빈 방미는 미국이 베트 남 전에 개입하면서 주한 미군 감축 과 군사원조 프로그램 이관을 검토 하던 시기에 베트남 파병, 한일관계 정상화등으로 미국의 세계전략에 적 극적으로 편승함으로써 대한민국의 지위를 강화했다.
(대한뉴스 혜운 기자)=이승만 대통령 기자회견, 4선은 희망하지만, 헌법을 개정할 의사는 없다고 밝혔다. 우리나라 개헌은 52년 장기집권을 위해 국회의원들이 탄 출근버스를 견인해 감금한 1차 발췌개헌, 54년 이른바 사사오입 개헌, 60년 4·19혁명 이후 이뤄진 3차 개헌, 같은 해 학생시위대 국회 점거사건으로 이뤄진 4차 개헌, 5·16 군사쿠데타 이후 비상계엄령 선포 후 5차 개헌, 69년 박정희 대통령의 3선 연장 개헌인 6차 개헌, 72년 이른바 유신헌법인 7차 개헌, 80년 전두환 대통령의 8차 개헌, 87년 6월 항쟁으로 이뤄진 지금의 9차 개헌으로 발전해왔다.
(대한뉴스 박배성 기자)=한조가 되어 달리기를 준비 중인 고 신성일과 윤정희의 모습. 윤정희는 사극영화 밤샘 촬영을 하여 참석이 힘들었지만, 장동휘 황정순 등 선배연기자들의 부탁으로 잠시 촬영을 중단하고 참석했다고 한다. 그래서 이조여인 헤어스타일에다, 잠을 못자서 얼굴이 부었다고 한다. 생전에 500여편의 영화에 출연한 신성일씨는 2018년 11월 일 세상을 떠났으며 한국의 오드리 햅번으로 불리던 윤정희씨는 2023년 1월21일 세상을 떠났다.
(대한뉴스 박배성 기자)=와우아파트는 서울시가 서민들에게도 쾌적한 환경에서 거주할 기회를 주어야 한다는 취지로 건설했다. 또 서울로 몰려드는 인구를 감당하려면 좁은 땅에 더 많은 사람들이 거주할 수 있는 싼 값의 서민아파트가 절실했다. 서울 마포구 창전동 와우아파트는 서울시의 고민이었던 무허가 건물을 줄이고, 그 대신 서민아파트를 건설하겠다는 취지로 건립된 아파트였다. 짧은 시간 안에 많은 서민아파트를 건립하려는 김현옥 서울시장의 의욕이 비극을 낳았다. 와우지구 시민아파트 15동 건물전체가 붕괴돼 33명이 숨지고, 39명이 중경 상을 입은 사건이 발생했다. 아파트 받침기둥에 철근을 제대로 쓰지 않아 기둥이 건물의 무게를 지탱하지 못해 준공 후 불과 4개월만에 붕괴된 대표적인 아파트 부실공사다. 이 사건으로 서울시장 김현옥, 구청장, 건축 설계자, 현장 감독, 건설사 사장 등이 구속되거나 자리에서 물러났다.
진해군항제는 지난 1952년 4월 13일, 우리나라 최초로 충무공 이순신 장군의 동상을 북원로터리에 세우고 추모제를 거행하여 온 것이 계기가 되었다. 초창기에는 이충무공 동상이 있는 북원로터리에서 제를 지내는 것이 전부였으나,1963년부터 진해군항제로 축제를 개최하기 시작하여 충무공의 숭고한 구국의 얼을 추모하고 향토문화예술을 진흥하는 본래의 취지를 살린 행사와 더불어 문화예술행사, 세계군악의장페스티벌, 팔도풍물시장 등을 아름다운 벚꽃과 함께 즐길 수 있는 봄 축제로 해마다 알찬 발전을 거듭하여 이제는 군항제 기간 동안 200만명 이상의 국내외 관광객이 찾는 오랜 역사와 전통을 자랑하는 전국 규모의 축제로서 자리를 확고히 하고 있다. 36만그루 왕벚나무의 새하얀 꽃송이들이 일제히 꽃망울을 터뜨리면 세계최대 벚꽃도시에서 봄날의 추억을 남기려 포토홀릭에 빠지는 사람들과 꽃비가 흩날리는 봄의 향연에 취한 사람들이 한데 어우러져 출렁이는 모습은 축제의 장관을 이룬다.
1962년 1월 13일, 자주경제의 달성을 위한 기반을 구축하기 위해 '경제개발 5개년 계획'이 수립됐다. 세계 최빈 국(最貧國)인 대한민국은 가난에서 벗어나기 위한 경제개발이 시급했다. 이에 신정부는 1961년 7월 22일에 경 제기획원을 설립한다. 경제정책 방향과 수립을 이끈 경제기획원은 1962년 제1차 경제개발 5개년 계획을 발표했다. 자립경제의 달성을 위한 기반 구축이 그 목표로 '한강의 기적' '수출 한국'의 시작이었다.
(대한뉴스 안상훈 기자)=한국 독립운동의 34인 이라 불리는 프랭크 윌리엄 스코필드(1889~1970·한국명 석호필) 박사는 한국을 조국처럼 사랑한 캐나다인이다. 1916년 세브란스의학전문학교 교수로 내한한 후 3·1운동을 지지한 혐의로 1년간 수감됐다가 캐나다로 추방되었다. 1955년 한국으로 다시 돌아와 1970년까지 세브란스의대 교수를 지내며 고아원을 설립하기도 했다. 정부는 1960년 국민훈장 무궁화장, 68년에 대한민국 건국훈장 독립장을 수여했다. 1919년 당시 스코필드 박사는 33인의 애국자들이 3·1 독립운동에 참여하여 독립을 선언한다는 것을 알고 3·1 독립운동에 가담해 세계만방에 한국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를 알리고 싶어 했다. 세계 여러 나라 영어신문에 3·1독립운동 때 찍은 사진을 보냈고 거기에 대한 기사를 써서 발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