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방역대책본부는 이날 0시 기준으로 신규 확진자가 1천252명 늘어 누적 17만9천203명이라고 밝혔다. 전날(1천454명)보다 202명 줄었으나 신규 확진자의 감염경로는 지역발생이 1천208명, 해외유입이 44명이다. 지역별로는 서울 413명, 경기 336명, 인천 62명 등 수도권이 811명으로 전체 확진자의 67.1%이다. 비수도권은 대전 83명, 경남 69명, 부산 63명, 충남 33명, 대구 31명, 강원 27명, 경북 17명, 전남 16명, 울산 13명, 광주 12명, 제주 11명, 전북 10명, 세종 8명, 충북 4명 등 총 397명으로 확진자의 32.9%다. 전체 지역발생 확진자 가운데 비수도권이 차지하는 비중은 전날 31.6%에 이어 다시 최고치를 경신했다. 실제로 1천252명 자체는 일요일 확진자(월요일 0시 기준 발표) 기준으로는 가장 많은 수치다. 직전 최다 기록은 지난주 일요일(발표일 12일 0시 기준)의 1천100명이었다. 특히 본격적인 여름 휴가철과 맞물려 비수도권의 이동량이 늘어나고 산발적 집단감염이 잇따르면서 전체 지역발생 확진자 가운데 비수도권 비중이 연일 30%를 넘어 방역당국이 바짝 긴장하고 있다. 한편 오늘부터 고등학교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이날 0시 기준으로 신규 확진자가 1천454명 늘어 누적 17만7천951명이라고 밝혔다. 어제보다 2명 늘면서 1천454명 자체는 주말 기준으로 가장 많은 수치다. 이날 신규 확진자의 감염경로를 보면 지역발생이 1천402명, 해외유입이 52명이다. 지역별로는 서울 515명, 경기 363명, 인천 81명 등 수도권이 959명으로 전제 확진자의 68.4%다. 비수도권은 경남 96명, 부산 68명, 강원 50명, 대전 45명, 대구 41명, 충남 35명, 충북 29명, 광주 23명, 경북 14명, 울산·전남·제주 각 11명, 세종 5명, 전북 4명 등 총 443명으로 전체확진자의 31.6%로 처음으로 30%를 넘어서 전국 확산이 매우 우려된다. 이에 정부는 비수도권에 대해서도 5인 이상 사적모임을 금지하기로 하고, 이날 오후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회의에서 관련 대책을 확정한다. 정부는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의 지난 3일 서울 도심집회 참석자 중 3명의 확진자가 나온 데 대해서도 촉각을 세우고 있다.
17일 김부겸 국무총리는 민주노총 노동자대회 참석자 중 '코로나19 확진자'가 발생함에 따라 긴급입장을 표명했다. 총리실은 이날 "역학조사 결과, 확진판정을 받은 사람 중에 OO노조 근무자(50대·여성)가 이달 3일 민주노총 집회 참석력이 확인됐다"고 밝혔다. 김 총리는 입장문에서 "코로나19 확산세가 엄중한 가운데, 수차례 자제를 요청드렸던 민주노총 노동자대회의 참석자 중에서 확진자가 나온 것에 대해 코로나19 중앙안전대책본부 본부장으로서 깊은 유감을 표한다"고 말했다. 이어 김 총리는 "코로나19 전수검사를 해 선제 대응해야 한다"며 "민주노총 노동자대회 '참석자 전원'에게 증상 유무와 관계없이 가까운 선별검사소를 찾아 '즉시' 진단검사를 받아줄 것을 강력히 요청드린다"고 밝혔다. 지난 12일 민주노총은 대규모 집회와 관련한 경찰 수사를 규탄하며 "7월 3일 대회 이후 10일이 경과 되는 현재까지 코로나 19 감염 확진자는 없다"면서 "안정적인 시위가 열리도록 정부가 노력을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민주노총은 지난 3일 서울 종로3가 일대에서 중대 재해 근절 대책과 비정규직 철폐 등을 내세우며 전국노동자대회를 진행했다. 전날 김총리와 정은경 질병관리청장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17일 0시 기준 1455명을 기록했다.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는 이날 0시 기준으로 신규 확진자가 1455명 늘어 누적 17만6500명이라고 밝혔다. 어제 1536명보다 81명 줄었지만 확진자 수 자체는 국내 코로나19 사태 이후 네 번째로 큰 규모다. 이날 국내 발생 확진자는 1404명, 해외 유입 확진자는 51명이다. 지역별로 서울 556명, 경기 385명, 인천 77명 등 수도권에서 전국 확진자의 72.5%인 1018명이 발생했다. 비수도권 확진자는 386명으로 전체 확진자의 27.5%다. 지역별로 경남 88명, 부산 61명, 충남 52명, 강원 45명, 대전 33명, 대구 28명, 경북·제주 각 14명, 광주 12명, 충북 11명, 울산 10명, 전북·전남 각 8명, 세종 2명이다. 이달 들어 수도권을 중심으로 본격화한 4차 대유행은 비수도권으로까지 점차 확산하는 양상이다. 정부는 수도권의 사적모임 허용 인원을 낮 시간대 4명, 오후 6시 이후 2명까지로 제한한 데 이어 비수도권에 대해서도 일단 5인 이상 사적모임 금지 조치를 취하기로 했다. 이 조치는 18일 오후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를 거
16일 중앙방역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신규 확진자는 1536명으로 총 누적 확진자는 17만5046명으로 늘었다. 이날 신규 확진자의 감염경로는 지역발생이 1476명, 해외유입이 60명이다. 지역별로는 서울 564명, 경기 448명, 인천 95명 등 수도권이 1107명으로 전체 확진자의 75%다. 비수도권은 경남 79명, 부산·대전 각 49명, 충남 38명, 대구 32명, 강원 27명, 광주 23명, 울산 14명, 충북 13명, 전북 12명, 경북 10명, 제주 9명, 세종·전남 각 7명 등 총 369명으로 확진자의 25.0%다. 전체 지역발생 확진자 가운데 비수도권 비중은 전날 29.5%까치 치솟았으나 이날 다소 꺾였다. 김부겸 국무총리는 이날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회의에서 "비수도권의 사적모임 인원 제한을 4명까지로 단일화하는 방안을 각 지자체가 논의해 줄 것을 요청드린다"면서 "확진자가 계속 늘어날 경우 수도권 이외 지역에서도 저녁 6시 이후 모임 인원을 추가로 제한할 수밖에 없음을 분명하게 말씀드린다"고 밝혔다. 또한 7월 접종 대상자가 점차 확대되면서 지난 12일 기준으로 하루 470명까지 떨어졌던 신규 1차 접종자 수는 최근 이틀간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신규 확진자는 1600명으로 누적 확진자는 17만3511명이다. 1600명은 국내 유입 이후 두 번째로 가장 많은 일일 확진자로 가장 많았던 전날 1615명보다는 15명 줄었지만, 증가세는 여전하다. 국내 발생 확진자는 1555명, 해외 유입 확진자는 45명이다. 지역별로 서울 518명, 경기 491명, 인천 89명 등 수도권에서 1098명으로 전국 확진자의 70.6%다. 비수도권 확진자는 457명으로 전체확진자의 29.4%다. 지역별로 경남 86명, 부산 63명, 대전 59명, 충남 51명, 대구 50명, 전남 26명, 강원 24명, 전북 23명, 광주 21명, 울산 18명, 경북 13명, 충북 12명, 제주 9명, 세종 2명이다.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는 14일 0시 기준으로 신규 확진자가 1천615명 늘어 누적 17만1천911명이라고 밝혔다. 전날(1천150명)보다 465명 늘어 이는 지난해 1월 20일 국내에서 첫 코로나19 환자가 발생한 이후 가장 많은 수치다. 이날 신규 확진자의 감염경로는 지역발생이 1천568명, 해외유입이 47명이다. 지역별로는 서울 633명, 경기 453명, 인천 93명 등 수도권이 1천179명으로 전체 확진자의 75.2%다. 비수도권은 경남 87명, 부산 62명, 대구 52명, 대전 41명, 충남 36명, 제주 21명, 경북 19명, 광주·강원 각 15명, 울산 11명, 전북·충북 각 9명, 세종·전남 각 6명 등 총 389명으로 전체 확진자의 24.8%다. 한편 일시 중단됐던 55∼59세 국민의 코로나19(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백신 접종 예약은 14일 오후 8시부터 재개된다. 앞서 정부는 55~59세 352만 4000여명을 대상으로 예방접종 사전예약을 12일 0시부터 17일 오후 6시까지 받을 예정이었으나, 12일 오후 3시 30분까지 185만명분의 사전 예약을 받고 사전 고지 없이 돌연 예약을 일시 중단했다. 정부가 확보한 물량에 대한 예약이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는 13일 0시 기준 국내 코로나19 확진자가 1,150명 발생했다고 밝혔다. 이중 1,097명은 지역사회 확진자다. 수도권에서는 서울 414명, 경기 313명, 인천 67명, 총 794명으로 전체 확진자의 72.4%다. 이 밖에 비수도권은 경남 49명, 부산 47명, 대구 36명, 충남 32명, 대전 31명, 제주·강원 19명, 전북 18명, 전남 13명, 광주 9명, 세종·경북 8명, 울산·충북 7명 등 전체 확진자의 27.6%로 전국에서 확진이 이어졌다. 2월 이후 코로나19 백신 1차 접종에는 총 1,561만8,302명이 응했다. 인구 대비 1차 접종자 비율은 30.4%다. 2차까지 접종을 완료한 사람은 총 594만374명으로, 인구의 11.6%다.
중앙방역대책본부는 12일 0시 기준으로 신규 확진자가 1천100명 늘어 누적 16만9천146명이라고 밝혔다. 특히 월요일기준 확진자 수로는 국내 코로나19 사태 이후 최다 기록이다. 6일 연속 네 자릿수 확진자가 나온 것도 처음이다. 이날 신규 확진자의 감염경로는 지역발생이 1천63명, 해외유입이 37명이다. 지역별로는 서울 402명, 경기 322명, 인천 51명 등 수도권이 775명으로 전체 확진자의72.9%다. 비수도권은 부산·충남 각 43명, 경남 40명, 대구 37명, 대전 25명, 전남 19명, 강원 18명, 광주·충북 각 13명, 경북 12명, 울산 8명, 제주 7명, 세종 6명, 전북 4명으로 총 288명으로 확진자의27.1%다. 정부는 일단 수도권의 확산세를 꺾기 위해 '사회적 거리두기' 단계를 이날부터 오는 25일까지 2주간 최고 수위인 4단계로 올리고, 오후 6시 이후에는 3인 이상 사적모임을 제한하는 등 고강도 방역조치를 시행한다.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이날 0시 기준으로 신규 확진자가 1천324명 늘어 누적 16만8천46명이라고 밝혔다.전날(1천378명)보다 54명 줄었으나 사흘째 1천300명대를 이어갔다. 1천200명을 넘은 네 자릿수 확진자로는 닷새 연속이다.이는 주말 검사건수 감소 영향이 부분적으로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지역발생이 1천280명, 해외유입이 44명이다.
경기 지역 주한미군에서도 확진자가 무더기로 나왔다. 주한미군은 지난 5일부터 7일 간 장병과 가족 등 주한미군 관계자 37명이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았다고 10일 밝혔다. 부대별로 보면 경기 동두천 미군기지인 캠프 케이시에서 미군 21명과 카투사 3명 등 24명이 확진됐다. 경기 평택 캠프 험프리스 소속 미군 1명과 한국인 노동자 2명이 확진 판정을 받았다. 오산공군기지에서 미군 4명이, 동두천의 또 다른 미군기지인 캠프 호비에서 미군 1명이 감염됐다. 이 밖에 경기 성남 미군기지(K-16) 소속 미군 3명과 가족 2명이 확진됐다. 확진자들은 캠프 험프리스, 오산공군기지와 한국 정부 시설에서 격리 중이다. 주한미군은 한국 질병관리청과 함께 역학조사를 하는 한편 확진자들이 다녀간 기지 안팎 시설에 대해 방역 조치를 하고 있다.
10일 중앙방역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1천378명 늘어 누적 16만6천722명이라고 밝혔다. 전날 1천316명보다 62명 더 많다. 이날 신규 확진자의 감염경로는 지역발생이 1천320명, 해외유입이 58명이다. 지역별로는 서울 501명, 경기 441명, 인천 79명 등 수도권이 1천21명으로 전체 확진자의 77.3%다. 비수도권은 부산 59명, 대전 47명, 경남 36명, 울산 29명, 충남 28명, 광주 20명, 충북 18명, 강원 15명, 전북 14명, 대구 12명, 제주 10명, 경북 9명, 전남 2명 등 총 299명으로 전체 확진자의 22.7%이다. 비수도권 비중은 이틀 연속 20%를 넘었다. 서울 현대백화점 무역센터점 집단발병과 관련해 방문객 14명을 포함해 총 94명의 확진자가 나왔다. 또 서울 종로구 공연장(누적 22명), 영등포구 음식점(35명), 강남구 연기학원(21명), 인천 미추홀구 초등학교(41명), 경기 성남시 어린이집(19명) 등에서도 확진자가 나왔다. 정부는 확산세가 거센 수도권의 '사회적 거리두기'를 오는 12일부터 25일까지 2주간 최고 수위인 4단계로 격상하는 초강수를 두고 집중적으로 방역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이날 0시 기준으로 신규 확진자가 1천316명 늘어 누적 16만5천344명이라고 밝혔다. 이날 신규 확진자의 감염경로는 지역발생이 1천236명, 해외유입이 80명이며 지역발생 확진자 역시 최다 기록인 전날의 1천227명보다 9명 많다. 지역별로는 서울 495명, 경기 396명, 인천 72명 등 수도권이 963명으로 전체 확진자의 77.9%다. 비수도권은 부산 53명, 충남 51명, 제주 30명, 대전 28명, 강원 23명, 경남 17명, 대구·울산 각 16명, 충북 13명, 경북 9명, 전북 8명, 전남 5명, 광주 3명, 세종 1명 등 총 273명으로 잔체 확진자의 22.1%이다. 수도권에서는 서울 현대백화점 무역센터점 관련 확진자가 총 76명으로 집계됐으며 비수도권에서는 전남 여수시 사우나와 관련해 총 13명, 부산 감성주점-클럽에서는 37명이 각각 양성 판정을 받았다. 충남 논산 육군훈련소 관련 누적 확진자는 77명으로 늘었다. 정부는 일단 확산세가 거센 수도권에 대해 오는 12일부터 25일까지 2주간 새로운 '사회적 거리두기' 체계의 최고 수위인 4단계를 적용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오후 6시 이후로는 2명까지(3인 이상 사적모임 금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에 따르면 8일 0시 기준 누적 확진자는 전날보다 1275명 증가한 16만4028명이다. 지난해 1월20일 국내 첫 환자 발생 이래 가장 많은 1275명으로 집계됐다. 국내 발생 확진자 수도 역대 최대 규모인 1227명, 해외 유입 확진자는 48명이다. 지역별로는 서울 545명, 경기 388명, 인천 61명 등 수도권이 994명으로 전체 확진자의 81.0%다. 비수도권은 충남 77명, 부산 55명, 제주 17명, 강원 15명, 대구 14명, 대전 12명, 울산·충북 각 8명, 경남·전남 각 7명, 세종·경북 각 4명, 전북 3명, 광주 2명 등 총 233명으로 확진자의19.0%다. 방역 당국은 활동량이 많은 젊은 층을 중심으로 한 감염에 기존 바이러스보다 전파력이 2.4배 높은 것으로 알려진 델타 변이 바이러스가 유행을 부채질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이에 현 상황을 4차 유행 초입으로 보고 7월 말에서 8월 초까지는 확산세가 계속될 것으로 내다봤다. 정부는 이날부터 14일까지 일주일 더 기존 사회적 거리 두기 체계를 적용하되, 확산세가 잡히지 않으면 새 거리 두기 체계 최고 단계인 4단계 격상까지도 검토한다는 방침이다. 4단계에선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이날 0시 기준으로 신규 확진자가 1천212명 늘어 누적 16만2천753명이라고 밝혔다. 전날(746명)보다 466명 늘었으며 이날 신규 확진자의 감염경로는 지역발생이 1천168명, 해외유입이 44명이다. 지역별로는 서울 577명, 경기 357명, 인천 56명 등 수도권이 990명으로 전체 확진자의 84.8%다. 수도권 확진자는 지난달 30일 이후 8일째 전체 지역발생 확진자의 8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비수도권은 부산 33명, 대전 29명, 제주 18명, 충남 16명, 경남 15명, 대구·강원 각 12명, 광주·전남 각 10명, 전북 8명, 세종·충북 각 5명, 경북 4명, 울산 1명 등 총 178명으로 전체확진자의 15.2%다. 서울 현대백화점 무역센터점과 관련해서는 총 47명의 확진자가 나왔다. 중대본은 "백화점 다수 층에서 근무자 중 확진자가 나왔고 출입자 명부가 작성되지 않아 방문객을 특정할 수 없다"며 지난달 26일부터 이달 6일까지 방문객은 코로나19 검사를 받아달라고 요청했다. 또한 국방부에 따르면 이날 오전 10시 기준 육군훈련소에서 37명이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았다. 이 가운데 36명은 훈련소 내 같은 부대에서 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