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형근은 공간과 구도, 거리 등을 무시하고 새로운 회화세계를 구축한 작가로 유명하다. 1953년 마산의 첫 개인전을 시작으로 그의 그림은 초기 자연묘사 위주의 인상파 계열의 작품을 그리다 추상성을 모방하고 해석하는 작품이 등장한다. 이후 1960년대 후반부터 은회색이라는 독창적인 색감을 구현한다. 1970년 국전에 출품한 ‘과녁’이 대통령상을 수상하며, 중고등학교 미술교과서에도 나오는 작품이 된다. 이어 미국유학 시절 객관적인 리얼리티를 구현한 작품을 선보이다가 70년대 후반 도예가로도 변신한다. 80년대에는 벽화제작에 이어 판화작업에도 영역을 넓혔고 1980년대 중반부터는 ‘꽃과 여인’을 주로 그리기 시작했다. 청와대, 사법연수원, 대검찰청, 국립현대미술관 등에 작품이 있으며 현재 뉴욕과 서울에 스튜디오를 갖고 활동 중이다
김형근은 공간과 구도, 거리 등을 무시하고 새로운 회화세계를 구축한 작가로 유명하다. 1953년 마산의 첫 개인전을 시작으로 그의 그림은 초기 자연묘사 위주의 인상파 계열의 작품을 그리다 추상성을 모방하고 해석하는 작품이 등장한다. 이후 1960년대 후반부터 은회색이라는 독창적인 색감을 구현한다. 1970년 국전에 출품한 ‘과녁’이 대통령상을 수상하며, 중고등학교 미술교과서에도 나오는 작품이 된다. 이어 미국유학 시절 객관적인 리얼리티를 구현한 작품을 선보이다가 70년대 후반 도예가로도 변신한다. 80년대에는 벽화제작에 이어 판화작업에도 영역을 넓혔고 1980년대 중반부터는 ‘꽃과 여인’을 주로 그리기 시작했다. 청와대, 사법연수원, 대검찰청, 국립현대미술관 등에 작품이 있으며 현재 뉴욕과 서울에 스튜디오를 갖고 활동 중이다
김형근은 공간과 구도, 거리 등을 무시하고 새로운 회화세계를 구축한 작가로 유명하다. 1953년 마산의 첫 개인전을 시작으로 그의 그림은 초기 자연묘사 위주의 인상파 계열의 작품을 그리다 추상성을 모방하고 해석하는 작품이 등장한다. 이후 1960년대 후반부터 은회색이라는 독창적인 색감을 구현한다. 1970년 국전에 출품한 ‘과녁’이 대통령상을 수상하며, 중고등학교 미술교과서에도 나오는 작품이 된다. 이어 미국유학 시절 객관적인 리얼리티를 구현한 작품을 선보이다가 70년대 후반 도예가로도 변신한다. 80년대에는 벽화제작에 이어 판화작업에도 영역을 넓혔고 1980년대 중반부터는 ‘꽃과 여인’을 주로 그리기 시작했다. 청와대, 사법연수원, 대검찰청, 국립현대미술관 등에 작품이 있으며 현재 뉴욕과 서울에 스튜디오를 갖고 활동 중이다.
김종수 화백은 이런 도시 나무를 빗대어 현대 도시인의 상처를 말하며 치유하는 방법을 회화적인 시각과 조화로 표현하고 있다. 지금까지 26차례의 개인전을 열었으며, 2011년 뉴욕 아트엑스포등 외국에서도 전시했고, 한국미술협회 부이사장과 신기회 회장직, 사)한국전업미술가협회 자문위원을 역임했으며 현재 대한민국 회화제 대표다.
김종수 화백은 이런 도시 나무를 빗대어 현대 도시인의 상처를 말하며 치유하는 방법을 회화적인 시각과 조화로 표현하고 있다. 지금까지 26차례의 개인전을 열었으며, 2011년 뉴욕 아트엑스포등 외국에서도 전시했고, 한국미술협회 부이사장과 신기회 회장직, 사)한국전업미술가협회 자문위원을 역임했으며 현재 대한민국 회화제 대표다.
김종수 화백은 ‘나무 작가’로 유명하다. 김 화백의 나무는 자연 속에서 자연의 순리에 따라 자라나는 나무가 아니라, 복잡한 도시 속에서 이식된 채 길들여지고 있는 나무다. 자기가 자라고 싶은 대로 자라는 것이 아니라 주변 풍경과 어울리고 강제로 다듬어지고 가꿔지는 것이다.
한국 사실주의 화가의 거장인 화가 구자승은 홍익대 회화과, 동 대학원, Ontario college of Art 졸업했다. 세계현대리얼리즘 회화전 외 550여회의 초대전 출품, 개인전 21회와 부부전 13회를 열었으며 몬데칼로 국제 현대미술제 조형 예술상 및 Salong Viole 은상 등을 수상했으며, 옥조근정훈장(노무현 대통령)을 수여받았다. 역대 대통령 초상화와 삼성 이병철·이건희 회장·이홍구 총리등 초상화를 제작했다. 현재 한국미술협회와 신미술회 고문이며 상명대 명예교수로 있다.
고승관은 한국 공예분야 대표적인 작가로 1943년 서울에서 태어나 1970년 홍익대학교 공예과,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을 졸업했다. 대학원 시절부터 학생들을 지도하기 시작해 37년간 홍익대학교에서 강의와 작품활동을 했다. 청주국제공예비엔날레의 기획위원장(1999), 심사위원장(2003), 조직위원(2005), 운영위원장(2007), 초대작가(2009) 등을 역임했으며, 2000년 국민훈장목련장 수상했으며 대한민국 미술인상 본상을 받았다. 1988년 서울올림픽 당시 최우수선수(MVP)에게 수여한 금관 백상크라운을 제작한 바 있으며, 이 금관은 스위스 IOC올림픽 박물관에 소장되고 있다.
박수근 작가는 서민을 주제로 한 절제된 미학을 보여주는 작품을 많이 그렸다. 주제에 있어서 그가 실제로 체험하였던 주변의 가난한 농가의 정경과 서민들의 일상적이고도 평범한 생활 정경을 주로 담았다. 또한 이러한 주제에 풍부한 서정을 가미해 일관성 있게 추구했다. 그리고 표현 방법에 있어서도 향토색 짙은 자신의 독자적인 양식을 구축했다.
천경자는 전남 고흥 출신으로 전남여고를 거쳐 1944년 동경여자미술전문학교를 졸업하였다. 1946년 광주여고 강당에서 첫 개인전을 가졌고 1999년 한국예술평론가협의회 선정 ‘20세기를 빛낸 한국의 예술인’ 으로 뽑히기도 했다. 이때부터 본명인 옥자 대신 스스로 지어 붙인 경자라는 이름을 사용했다. 천경자의 작품세계는 1942년부터 1969년까지 삶과 죽음 등 자신의 내면적 갈등을 보여주고 있고, 1970년부터 1990년대까지는 자신의 꿈과 낭만을 실현하려는 시기였다. 특히 꽃과 여인을 소재로 환상을 표현하거나 해외여행에서 느낀 이국적 정취를 통해 원시에 대한 향수를 반영하고 있다.